일시: 2014년 11월 2일(일) 오후 6시
장소: AX-KOREA
미스터 빅이라는 밴드의 탄생은 그 자체만으로 당시에는 화제가 되기에 충분했다. 특히 1980년대부터 록 음악계의 동향에 대해 통달했던 사람들이라면 에릭 마틴(Eric Martin), 폴 길버트(Paul Gilbert), 빌리 시헌(Billy Sheehan), 팻 토피(Pat Torpey)의 결합 그 자체가 ‘슈퍼 밴드의 탄생’임을 직감했었을 것이다. 에릭은 자신의 솔로 밴드로서, 폴은 레이서 엑스(Racer-X)와 카코포니(Cacophony)로서, 빌리는 탈라스(Talas)와 데이빗 리 로스(David Lee Roth)밴드로서, 팻은 80년대 여러 팝스타들의 라이브 세션이자 임펠리테리(Impellitteri)의 [Stand In Line](1988)앨범의 라인업으로 이미 매니아들에게 실력을 인정받은 인물들이었으니까. 마치 하드 록 버전의 아시아(Asia: 1970년대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들의 대표 멤버들이 모여 결성된 1980년대의 슈퍼그룹)라고 표현해도 될 이 쿼텟은 그 기대에 걸맞게 화려한 연주 테크닉 속에 대중적 멜로디 라인도 확실하게 담아내는 ‘중도의 미학’을 선사하며 지난 25여년을 록 씬에서 꾸준히 활동해왔다. 게다가 굳이 하드 록 팬이 아니더라도 1990년대 초반 이들이 발표했던 “To Be With You”나 “Wild World(캣 스티븐스(Cat Stevens)의 커버곡)”과 같은 정갈한 어쿠스틱 록 트랙들은 국내에서 꾸준히 FM전파를 타면서 대중의 사랑을 받았기에 이들의 그간의 내한공연들은 언제나 꾸준한 관객을 동원했고, 적절한 흥행을 기록했었다.
그런데, 이번 내한의 경우는 공연 전부터 많은 미스터 빅의 팬들에게 걱정과 우려의 기운이 맴돌았다. 바로 드러머 팻 토피가 파킨슨 병을 앓고 있고, 과거와 같은 정상적인 드러밍이 어렵다는 올해 7월 발표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공연 전부터 이미 공연용 드러머로서 매트 스타(Matt Starr : 근래에는 키스(Kiss) 출신의 기타리스트 에이스 프레리(Ace Frehley)의 밴드 드러머로 활약중)가 투어에 함께 한다는 공지가 나왔고, 팻도 투어에 함께 한다는 소식도 같이 전해졌다. 그렇기에 개인적으로도 과연 팻이 무대 위에서 어떤 모습으로 등장할 지 걱정과 궁금함을 동시에 담은 마음으로 공연장으로 향했다.
한국의 일요일 저녁 공연 시간이 평균 7시 정도임에 비해 (팻이 일찍 휴식과 취침을 하려는 배려인지는 모르나) 1시간이나 일찍 시작시간이 잡혀있어서 정말 허겁지겁 공연장에 도착해보니, 악스 코리아의 내부에는 이제 막 첫 곡이자 이들의 투어에서 변함없는 인트로 송이 되어버린 “Daddy, Brother, Lover & Little Boy”가 연주되고 있었다. 변함없는 폴 길버트의 스피디하고 자유분방한 연주와 과거보다는 고음역에서 조금 힘겨워하지만 대체로 자신의 가창력을 유지하고 있는 에릭 마틴의 목소리, 그리고 이제는 ‘베이스의 도인’다운 풍모와 함께 무시무시한 테크닉을 선사하는 빌리 시헌은 다 그대로였지만, 역시나 드럼 자리에는 팻 대신 매트가 앉아있었다. 매트의 연주는 당연히 훌륭했지만, 팻이 없는 빈자리를 느끼며 공연을 관람한다는 것은 분명히 어딘가 아쉬움과 슬픔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다행히 초반부 몇 곡을 끝낸 후부터 팻이 무대 위에 등장했다. 그러나 그를 위해 원래 드럼 세트 옆에 작은 미니 드럼 세트가 놓여지고, 그는 주로 탬버린 연주를 하면서 멤버들의 연주와 에릭의 보컬에 화음을 넣고 코러스를 함께 했다. 결국 현재 팻의 건강 상태로는 복잡한 테크닉의 드러밍은 이미 불가능한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었던 셈이지만, 그래도 이렇게 함께 투어를 다니면서 한 밴드의 멤버로서 동료들과 함께하는 의지, 그리고 그를 위해 최선의 배려를 아끼지 않는 나머지 멤버들의 모습은 너무나 기쁘고 감동적인 것이었다. 팻 역시 드러밍에 대한 의지가 여전히 강하기에, 중반의 두 곡 – “Just Take My Heart”, “Fragile”, 그리고 앙코르 시간의 마지막곡이자 그룹 송인 “Mr. Big”에서는 직접 드럼 세트로 올라가 드럼 연주를 보여주는 감동적 장면을 연출했다. (이 곡들의 드럼 연주가 타 곡들에 비해서는 꽤 간단한 리듬이기에 가능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공연의 레퍼토리는 대체로 최근작인 8집 […The Stories We Could Tell]과 2008년 원년 멤버 재결합 후 처음 발표했던 7집 [What If]의 비중이 1/3, 그리고 나머지 과거 대표곡들의 연주가 2/3를 차지했다. 20년간 그들이 쌓아온 주옥같은 레퍼토리들이 계속 연주되었고, 폴과 빌리의 기타-베이스 듀얼은 물론, 각 멤버들의 솔로 연주 시간까지 전체적으로 공연은 매끄럽고 무난하게 흘러갔다. 특히 이들은 라이브에서는 항상 앙코르 시간에 “파트를 바꿔 연주하기” 쇼를 한 곡 보여주는데, 이 날 공연에서는 주다스 프리스트(Judas Priest)의 “Living After Midnight”을 팻이 보컬, 폴이 드럼, 빌리가 기타, 에릭이 베이스를 맡아 연주하며 선사했다.
딱 2시간을 꽉 채운 공연 속에서 미스터 빅은 언제나 그들이 보여줄 수 있는 최상의 무대를 펼쳐보여주었다. 오랜만에 다시 1990년대로 되돌아간 기분을 느낄 만한 무대였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현장에서도 그랬고, 지금의 마음도 편하지 못한 것은 파킨슨병의 성격상 앞으로 팻의 모습을 보기가 더 어려워 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계속 맴돌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미스터 빅이 계속 활동을 이어간다면 다음 내한공연부터는 팻이 아예 내한하지 못하는 공연을 보게 될 것 같다는 상상을 할 수록 슬픔이 밀려오는 건 어쩔 수 없다.
(사진 제공: 엑세스 엔터테인먼트)
1. Daddy, Brother, Lover, Little Boy (The Electric Drill Song)
2. Gotta Love the Ride
3. .American Beauty
4. Undertow
(Guitar/Bass Duel)
5. Alive and Kickin’
6. I Forget to Breathe
7. Take Cover
8. Green-Tinted Sixties Mind
9. Out of the Underground
(Guitar Solo)
10. The Monster in Me
11. Rock & Roll Over
12. As Far as I Can See
13. Wild World (Cat Stevens cover)
14. East/West
15. Just Take My Heart (Pat Torpey on drums)
16. Fragile (Pat Torpey on drums)
17. Around the World
(Bass Solo)
18. Addicted to That Rush
Encore:
19. To Be With You
20. Colorado Bulldog
21. Living After Midnight (Judas Priest cover)
22. Mr. Big (Free cover) (Pat Torpey on drums)